오토캐드 마스터캠 머시닝센터 MCT CAM 2D 캠 모델링 및 NC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실무 실습 (센터드릴 드릴 황삭/정삭평엔드밀 페이스밀 탭드릴 리머 NC드릴) 기술 취업교육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및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가공기능장 자격증 실기시험 대비 가능
1, 작업공정
드릴가공의 센터 가공 후, 드릴관통 가공, 윤곽 황삭가공, 포켓 황삭가공, 포켓 관통 황삭가공, 표면가공, 윤곽 정삭가공, 포켓 정삭가공, 포켓 관통 정삭가공, 암나사 가공, 리머 가공, 모따기 가공, 순서로 작업공정을 진행합니다.
2, 공구목록 및 절삭조건
T01 황삭 평엔드밀 10파이 2날 이송속도100 주축회전수1000
T02 센터드릴 4파이 이송속도100 주축회전수1000
T03 드릴 6.6파이 이송속도90 주축회전수900
T04 탭드릴 M8x1.25 이송속도250 주축회전수200
T05 정삭 평엔드밀 10파이 4날 이송속도80 주축회전수1400
T06 페이스밀 100파이 6날 이송속도70 주축회전수700
T07 리머 20파이 이송속도150 주축회전수200
T08 NC드릴(모따기) 6파이 2날 이송속도80 주축회전수1400
3, 특이사항
소재크기 70 x 70 x 27t (표면 페이스밀 가공여유 1t 포함)
센터드릴 G81, 드릴 G83, 탭드릴 G84, 리머 G85, 각각의 드릴 고정사이클을 사용합니다.
윤곽 및 포켓 정삭여유는, 바닥면과 측벽 각각 0.2mm를 적용합니다. (리머 구멍의 측벽도 0.2mm 적용합니다)
리머 가공시, 공구에 H7적용 공구로 정삭하듯이 나머지 가공을 진행합니다.
탭 가공시, 주축회전수200을 기준으로 이송속도는 피치값 1.25를 곱하여 F250 으로 적용합니다.
[기계가공 및 기계설계 핵심이론]
기계공작법에서 공작기계와 가공물도 중요하지만, 결국 가공물에 가공운동을 적용하는 물건은 바로 "절삭공구"입니다.
절삭공구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쉽게 과일 사과를 깎을 때 무딘 칼(절삭공구)를 사용한다면 사과에 상처도 많이 생기고 껍질에 내용물들이 많이 깎여서 손실도 많을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날이 선 칼이 잘 드는 과도로 깎는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절삭공구(이하, 공구)도 신품이 절삭력이 높고, 구품(중고)는 절삭력이 떨어지게 마련입니다. 그리서 현장에서는 중고 공구를 연마, 갈아서 재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만, 정밀도가 떨어지는 심각한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현장에서는 제품에 치수 물량이나 무늬, 색깔이 바랫거나 흔들림등은 제일먼저 공구에 파손이나 마모 등을 파악합니다. 이처럼 가공물에 1차적으로 절삭이 이루어지는 물건이 "공구"입니다. 그럼 당연히도 공구가 가공물보다는 쎄야겠죠. 경도라고 하는데 경도(튼튼함)가 높아서 공구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공구가 어떤 방식으로든 가공물과 접촉, 마찰 등을 발생시켜 가공물의 칩이 이탈되면서 형상과 치수로 제품이 완성됩니다.
그래서 위의 절삭을 위해서는, (1)절삭운동과 (2)이송운도, (3)위치조정운동의 3가지 기본운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공작기계와 절삭공구, 가공물 모두가 상기 3가지 기본운동이 적용됩니다.)
(1)절삭운동
절삭하려면 누군가는 회전하거나 직선운동 등을 해야합니다. 공작기계가 움직이든, 공구가 움직이든, 가공물이 움직이든... 움직여야 절삭작용이 발생합니다.
가공물을 이송시키고 공구를 회전(또는 이송)시키는 공작기계에는 밀링과 플레이너 등이 있습니다.
가공물을 회전시키고 공구를 이송시키는 공작기계에는 선만 등이 대표적이 예입니다.
(2) 이송운동
앞서 절삭작용의 3소요로, 누군가는 이송해야하는 것입니다. 움직어야 절삭작용이 발생합니다.
밀링은 분당이송속도로, mm/min의 이송속도 단위를 사용합니다.
선반은 회전당이송속도로, mm/rev의 이송속도 단위를 사용합니다.
셰이퍼는 스트로크당이송속도로, mm/stroke의 이송속도 단위를 사용합니다. (stroke를 반복전인 이송의 범위를 말합니다.)
(3) 위치조정운동
가공할 포지션 즉, 위치를 조정하는 의미로, 가로/세로/절입량/방향 등을 제어를 말합니다. 이 구간은 G00 인 위치결정의 의미입니다. 절삭가공중이 아닌 가공 직전에 위치를 제어하는 의미입니다.
자 그럼, 복습을 위해서 문제 하나 풀어보도록 합니다.
다음은 공작기계의 기본운동이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① 절삭운동
② 동적운동
③ 이송운동
④ 위치조정운동
(정답은, ② 동적운동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