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제도

기계제도 설계 기본 이론 익히기 02 - 선의 종류와 굵기 용도 등등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자격증 실기시험 기준 (큐넷에서 각 시험별 공개문제 참고)

728x90
반응형

기계제도 설계 기본 이론 익히기 02 - 선의 종류와 굵기 용도 등등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자격증 실기시험 기준 (큐넷에서 각 시험별 공개문제 참고)

선의 종류와 굵기, 용도 등등에 대해서 우선, 아래의 도면부터 확인 바랍니다.

상기 도면을 보고, 어떤 느낌인지? 어디가 중심선이고 해칭인지? 암나사 탭부분의 경계는 구분이 가능한지? ...

이렇게, 어떤 색상이나 선의 스타일 등의 구분이 없다면, 설계하는 사람은 본인이 설계했으니 잘 알테지만, 결국은 만들어야 하는 문제에는 해결이 어려울 것입니다. 구분을 해야,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부품의 형태나 그 특징을 제작상에 공정을 짜고, 도면과 완벽히 일치하는 부품을 제작할 수 있게됩니다.

상기 도면처럼, 선의 구분을 명확히 한다면, 구분된 부분별 형태와 특성, 특징 파악이 명확해 집니다.

그래서 도면은 도면답게 그려야 하고, 그 도면을 설계자 뿐만아니라, 제작자에게도 명확이 전달되도록 그려야 합니다.

자~, 그래서 선의 종류와 굵기, 용도 등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자격증 실기시험 기준으로 큐넷에서 제공된 시험별 공개문제양식을 따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큐넷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실기시험 공개문제 일부분

선 굵기에서 가장 굵은 부분인, "윤곽선"과 "중심 마크"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윤곽선과 중심마크는 각각, 하늘색 그리고 0.7mm 굵기로 생성합니다.

캐드에서 선의 색상과 굵기는 레이어에서 생성합니다. 단축키 " LA " 로 설정합니다.

LA 레이어 생성과 설정은, 다음시간에 하기로 합니다.

(1) 윤곽선은, 도면 용지와 도면 부품간의 경계선입니다.

(2) 중심마크는, 도면의 위치파악이나 경계기준선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외형선"과 "개별주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0.35mm 선의 굵기와 초록색(녹색)을 사용합니다.

(1) 외형선은, 부품의 외형(껍데기)를 선을 표현한 것입니다. (쉽게, 사람의 눈으로 부품을 보면, 외측 부분이 경계된 선을 보이는 것과 같습니다.)

(2) 개별주서는, 부품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특수한 사항으로, 본 부품에서는 축 부품에 "열처리"를 적용하라는 지시사항입니다.

다음은 숨은선과 치수문자, 일반주서입니다. 선의 굵기는 0.25mm이고, 노란색입니다.

(1) 숨은선은, 보이지 않은 부분을 표시한 것입니다. (기계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도, 필요시 반드시 표현해야 합니다. 제도통칙에서는 숨은선을 되도록 줄이거 피할 것으로 말하나, 실무에서는 설계자 위주의 제도보다는, 제작자의 입장을 고려한 도면 작성이 필수 있습니다.)

(2) 치수문자는, 치수를 말합니다.

(3) 일반주서는, 도면 전체에 적용되는 특징 등을 작성한 문자(글, 문장, 등)을 말합니다.

다음은 치수선과 치수보조선, 중심선입니다. 선의 굵기는 0.18mm이고, 빨강색입니다.

(1) 치수선은, 치수 바로 아랫쪽에 화살표를 물고 있으면서, 지점을 표시하는 선입니다.

(2) 치수보조선은, 치수선의 한계 지점을 표시하는 보조선입니다.

(3) 중심선은, 원형 물체 또는 대칭 물체의 중심을 표현한 선입니다.

다음은 해칭입니다. 선의 굵기는 0.18mm이고, 흰색입니다. (여기서 흰색은 캐드 배경색이 검정색이면 흰색으로 나타나고, 흰색이면 검정식으로 표시됩니다.

해칭은, 단면된 부분을 45도 각도 등으로 표현한 선입니다.

이렇게, 기계제도에서 사용되는 선의 종류와 굵기, 용도 등을 자격증 시험의 기준으로 알아보고 설명하였습니다.

과거 수기제도 시절에 먹물 들어간 굵기가 다른 펜을 사용했던 시절에 비해, 캐드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속도와 정확도가 높아졌습니다.

기계제도의 지식이나 이론도 중요하나, 캐드 활용법 특히 단축키를 반드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