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오토캐드 CNC선반 CAM 캠 모델링 및 컴퓨터응용 기계가공 NC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실무 실습 (외경 축 부품 - 더블홈 및 더블나사) 황삭 정삭 홈파기 나사 실무가공
1, 작업공정
(1) 외경 축 부품, 캠가공용 모델링
(2) 황삭, 정삭, 홈파기, 나사 공정별 CNC선반 캠 프로그래밍 (툴패스 작성)
(3) NC 프로그램 생성 및 모의가공 시뮬레이션 검증
2, 공구목록 및 절삭조건
(1) T0101 외경황삭바이트 노즈알 R0.4 / F0.2 / S200 / S1800
(2) T0303 외경정삭바이트 노즈알 R0.4 / F0.1 / S350 / S3000
(3) T0505 외경홈바이트 폭3 코너알 R0.2 / F0.05 / F500
(4) T0707 외경나사바이트 피치2.0 / F0.05 / F500
(5) T0909 외경나사바이트 피치1.5 / F0.05 / F500
3, 특이사항
-. 소재 크기 : 지름63 x 길이100
-. 나사 가공시, G92와 G76 방식을 적용하여 가공합니다.
-. 외경 황삭/정삭 가공시, 캔드방식의 내외경 복합 고정사이클로 가공합니다. (황삭-G71, 정삭-G70)
-. 모든 공정은 모의가공 시뮬레이션 검증 후, NC 생성 그리고 필요부분은 수정/편집하여 완성합니다.
[기계가공 및 기계설계 핵심이론]
밀링장비의 가공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면가공 및 단차가공, 홈가공, 드릴구멍 가공, T홈과 더브테일 가공, 보링 등의 가공을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선반과 밀링으로 기계가공을 구분하고 있으며, 절삭가공의 기본이기도 합니다.)
밀링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절삭공구로, 엔드밀과 페이스커터(밀)이 있습니다. 엔드밀에서 평엔드밀과 볼, 코너알 등의 형태로 구분짓고, 엔드밀은 대체로 가공물의 홈이나 좋은 평면, 윤곽과 포켓, 구멍(보링) 가공에 사용됩니다. 공구의 크기에 따라다르나 절삭량이 많고 적기도 합니다.
페이스 커터는, 평면 또는 표면 가공에 주로 사용됩니다.
T홈과 더브테일 공구는, T홈 커터는 T홈을 만들 때 그리고 더브테일 공구는 더브테일 홈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참고로 더브테일은 비둘기 꼬리모양의 홈을 말합니다.) T홈과 더브테일 가공시, 절삭량과 이송량은 작게 그리고 하향절삭으로 가공하도록 합니다.
밀링에서는 선반과 다르게, 가공하는 방향에 따라 (1)상향절삭 과 (2)하향절삭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1)상향절삭은, 커터의 회전방향과 테이블의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삭되는 것을 말합니다.
공작물을 들어 올리면서 가공하므로, 장비에 무리를 주지 않고, 백래시가 제거되며, 절삭 후 발생되는 칩의 가공면에 쌓이지 않아 절삭을 방해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공작물이 들리거나 하여 견고히 고정해야 하고, 동력 소비가 많고, 가공면이 띁겨지는 형태이므로 가공면이 곱지 못한 단점이 있습니다.
(2)하향절삭은, 커터의 회전방향과 테이블의 이송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절삭되는 것을 말합니다.
공작물을 누르면서 가공하므로 공작물의 고정력이 높고, 가공전에 칩이 생서되지 않아 커터를 방해하지 않고, 공구 마모와 동력 소비가 적습니다. 다만, 백래시가 발생하고, 장비에 무리는 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백래시(Backlash)
밀링 장비에서 테이블이 이송되는 나사 이송기구인 암나사와 이송나사의 플랭크면 뒷쪽 사이에 틈새게 발생되는데, 이 틈새를 백래시라고 합니다.
선반이건, 밀링이건, 기계가공 작업중에는 장갑이나 반지, 팔찌, 목걸이 등을 착용하지 말아야 하며, 그리고 여성의 경우 긴머리를 그대로 풀어헤치지 말고 짧게 묶는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장비의 예방점검 차원에서 일일/주간/월간/반년/연간 정비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너무나도 상식입니다만, 장비가 운영중에는 작업자가 자리를 비우지 말고, 장시간 비우게 된다면, 반드시 끄고, 주변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또한, 작업을 종료한다면 주변을 정리정돈, 사용한 물건이나 공구는 제자리 챙겨놓는 습관이 꼭 필요합니다.
혹시, "3정 5S" 라고 들어 보셨습니까?
3정 - 정위치, 정품, 정량
5S - 정리, 정돈, 청소, 청결, 습관화
저는, 별 5개도 모자랄 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잊지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