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CT 밀링

위아 머시닝센터 화낙 기계가공 공정별 활용 G 코드 동영상 확인 및 실무 실습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가공기능장 자격증 실기시험 대비 가능) 기술교육

728x90
반응형

 

가공을 시작하면서,

G91 G28 X0. Y0. Z0.; 으로 기계원점 복귀 후, G91 G30 Z0. M19; 으로 공구 교환위치 시킵니다.

T01 M06 으로, 현재 주축의 공구를 T01 공구로 교환합니다.

 

NC 프로그램의 순서와 머시닝센터 공구번호와 일치되도록 설정하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평엔드밀 10파이 2날 S1000 F100 으로 소재의 윤곽을 가공합니다.

이때 사용한 G코드는 G00 G01 G02 G03 으로

G00 급속이송이며, G01 직선가공, G02 시계방향 원호가공, G03 반시계방향 원호가공 입니다.

G00 급속이송의 경우, 이송속도는 머시닝센터의 파라미터에서 설정된 급속이송 속도로 이송합니다.

G01과 G02, G03 의 경우, 최초 가공의 시작시점에는 반드시 이송속도 F 값을 설정해야 절삭이송을 진행하게 됩니다.

 

절삭유 ON M08

절삭유 OFF M09

 

 

 

공구를 교환합니다.

기계가공 후,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G49 G00 Z200. M09 이며,

G49 는 공구의 길이보정을 취소하는 G코드 입니다.

 

공구를 교환하거나, 들어서 위치를 이동 후 가공할때는 보정을 취소하며,

다시 가공을 위한 접근의 경우에, 보정을 적용합니다.

 

 

 

센터드릴 가공의 경우, G81 의 스포트 드릴링 고정사이클을 사용하며, 포인트 마다의 위치를 기입하여 연속 가공을 수행합니다.

G81 G90 G99 Z-5. R5. F100;

X40. Y30.;

X10.;

G80;

 

 

 

상기의 NC 프로그램에서, 추가적인 포인트의 위치를 지정하여 센터드릴 가공을 수행하며,

G80으로 사이클이 종료되었다고 기재하도록 합니다.

 

 

 

다음공구로 공구를 교환합니다.

 

 

 

G73 고속 심공 드릴링사이클고 구멍 관통 가공합니다.

고속인 이유는, G73 사이클의 경우 Q값으로 절입 가공한 후, 후퇴 할 경우, 머시닝센터의 파라미터에서 지정된 값으로 후퇴하도록 합니다. 이때, 후퇴량 자체가 값이 짧기 때문에, 고속으로 심공 관통가공이 가능합니다.

 

 

 

공구를 교체합니다.

 

 

 

G83 펙 드릴링사이클로, 심공 가공합니다.

G73과 마찬가지로 Q값으로 절입하고, R값의 후퇴량으로 후퇴하여, 공구가 소재의 빠져나오면서 후퇴합니다.

하여, 고인 칩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G99와 G98이 있는데,

G99는 R점으로 가공 후, 복귀하며, G98은 초기점으로 가공 후 복귀하는 G코드 입니다.

 

 

 

공구를 교환합니다.

 

 

 

G85 보링사이클로 가공합니다. G01 이송속도로 진입하고, 후퇴하여 일반적으로 리머 작업의 정밀 구멍 가공용으로 활용합니다.

 

 

 

 

공구를 교환합니다.

 

 

 

G89 보링사이클 가공합니다. 카운터 보어 구멍을 가공하는 카운터보어 공구가 있으나, 평엔드밀 공구를 활용하여 카운터 보어 구멍을 가공합니다. G89 사이클에는 P값인 드웰(이송 일시정지) 기능로 가공 종점에서 이송을 잠시 멈추고, 종점 바닥을 다지는 가공이 가능하여 카운터보어용 보링가공이 가능한 사이클입니다.

 

 

 

공구를 교환합니다.

 

 

 

G84 태핑 사이클 가공합니다. G84 사이클은 우나사 시계방향으로 이송 가공후, 복귀시, 역회전으로 만들어 놓은 나사를 타고 빠져 나옵니다. 따라서, 나사 가공이 가능하게 됩니다.

구멍의 깊이보다 조금 더 깊계 가공하며, 이송속도는 주축의 회전수에 나사의 피치값을 곱하여, 이송속도를 설정합니다.

 

 

 

공구를 안전높이 이상으로 위치시켜, 소재 청소 및 정리, 정돈하여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