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스터캠

마스터캠 머시닝센터 MCT 2D 디자인 및 NC 프로그래밍 실무 실습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가공기능장 자격증 실기시험 대비 가능) 윤곽 포켓 드릴 가공 기술교육

728x90
반응형

마스터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머시닝센터 2D 디자인과 NC 프로그램을 생성합니다.

공정에 필요한, 필요한 공구를 계획하고, 절삭조건을 설정하여, 가공공정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스터캠에서 도면을 디자인하거나, 캐드 파일을 오픈하여 툴패스를 생성하는, 각각의 방법을 모두를 알고 있도록 합니다. (사실 캠 프로그램은, 캠 전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의 경우, 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델링과 NC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목이 1교시 시험으로 진행됩니다. 캠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UG NX CAM 과 Edge CAM, MasterCAM, ... 등의 많은 캠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시험에 적합한 프로그램은 따로 없으니, 시험장의 시설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찾아,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기 이미지는, 마스터캠 X9버젼을 시작한 화면입니다.

화면 우측 중앙부분에. XY 좌표계 영역이 모델링 영역입니다. 화면 좌측의 머신 그룹-1 이하 부분은 작업히스토리가 남는 영역으로, 작업 순서별 공정이 하나씩 쌓여 생성/수정/편집이 가능한 영역입니다.

 

나머지, 기능과 역할은 2D 디자인 및 캠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아래의 동영상에서 확인하도록 합니다.

공정으로, 윤곽과 포켓, 드릴가공 등의 가공공정의 작업입니다.

 

 

 

마스터캠의 작업공정은 다음과 같이,

 

모델링을 먼저 시작으로, 센터드릴로 드릴 자리파기 가공을 합니다.

드릴로 관통가공을 수행합니다.

평엔드밀로 윤곽과 포켓을 가공합니다.

완성된 캠작업에서 시뮬레이션으로 공정의 검증과 미절삭 부분의 유무를 파악하고, 이상 없으면, NC를 생성합니다.

 

NC를 생성하여, 바로 머시닝센터로 가공하는 경우는 회사의 사정마다 다르나, 잘 없으며 가공 장비의 특징이나 상황을 고려하여 NC를 적절히 수정편집하여 가공을 진행합니다.

 

 

 

 

 

 

이것은 "포스트"라고 하는 영역인데, 보통 화사의 장비는 중고이거나 신품 장비로 신품의 경우, 포스트를 제조사가 만들어 공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중고 장비가 많은 현장에서는 사용 장비의 포스트를 바꾸기 보다는 NC 코드를 수정하여 장비에 맞춰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포스트 수정은 사실 쉬운 작업은 아니기에,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알면 좋다고는 생각되어 집니다.

 

 

상기의 이미지 처럼, 완성된 NC 프로그램입니다.

본 글에서는,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뿐 아니라,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와 기계가공기능장 실기시험에도 대비 할 수 있다고 한 이유로, 기능사는 캠으로 산업기사와 기능장은 수기 NC 코딩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하여,

가공산업기사와 기능장 시험에도 유용한 NC 코딩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수기 NC 이므로, 시험문제의 모델링은 수기로 가능한 형상의 도면이 됩니다.

수기의 기본은, 코드를 많이 아는 것보다는 머시닝센터를 어떻게 동작시켜, 안전한 가공이 될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코딩하도록 합니다.

 

 

% (프로그램 전송의 시작 기호)

O1234 (프로그램 번호, 필수)

G17 G40 G49 G80; (XY좌표 설정, 공구지름보정취소, 공구길이보정취소, 고정사이클취소)

G91 G28 X0. Y0. Z0.; (상대지령 ......)

 

생각해 보니, 수기 코딩은 본 글에서는 내용이 너무 길어 질 듯합니다.

따라서, 수기 코딩 관련한 기본 내용, 영상과 도면을 바탕으로 다시 글을 올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시, 마스터캠으로 넘어와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설명을 첨가하여, 완성된 모델링의 NC 생성까지의 설명을 이어가도록 합니다.

 

 

 

상기 동영상에서, 완성된 캠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NC 코드에 대하여 설명하셨습니다.

 

우리가 캠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이유는, 업무효율을 높이고 NC 데이터의 검증을 통한, 불량방지 차원의 활용도 때문에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공구목록을 뽑아, 장비에 실제 공구를 셋팅하는 편의성도 갖고 있습니다.

 

끝으로, 캠에서 새롭게 모델링하는 경우에는, 발견되는 오류는 아니지만, 외부 캐드 파일을 캠에서 오픈하여 무심고 작업하는 경우,

 

외부 도면에서는 100인데, 마스터캠에서는 95로 사이즈가 틀릴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도면의 설계자에게 무엇이 맞는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물론, 도면기준이므로 치수가 우선입니다. 그렇다면 95가 아닌, 100으로 다시 모델링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면의 설계자에게 꼭 묻고, 해결 후 캠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ㅇ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