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6UBHXuiStjQ?si=8YP0_9RfvBH2T3tT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의 몫 입니다.
안녕하세요! 😊 이번 시간은, 제가 매수한 PDI ETF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다만,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정은, 본인의 책임임을 꼭 명심해주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결정을 권유하거나 추천하지 않습니다.







📉 1월 초에 매도한 걸 이렇게 후회할 줄이야… PDI 다시 모으는 이유
올해 초, 정확히는 2025년 1월 6일, 저는 가지고 있던 PDI (PIMCO Dynamic Income Fund) 100주를 매도했습니다. 당시 주당 가격은 $18.78. 수익도 어느 정도 나 있었고, 가족 월배당을 채우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조금 아쉽습니다. 다만, 가족에게 전달해 안도합니다.
📈 현재 주가는 $19.74 (3월 28일 기준)
이후 PDI는 점진적으로 회복되었고, 지금은 $19.7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도한 시점에서 약 +5.1% 상승한 가격입니다.
💰 PDI, 미친 배당률… 연 13.4%
PDI는 고배당 ETF 중에서도 상위권입니다.
- 최근 1년간 배당 지급 횟수: 매월 (12회)
- 1주당 연간 배당금: $2.64
- 배당 수익률: 연 13.4%
월 배당 기준으로 보면 약 $0.22씩 꾸준히 지급 중입니다.
이번 4월 배당도 예정대로 4월 1일 지급, 기준일은 3월 13일이었습니다.
제가 1월에 매도하지 않았더라면… 2월, 3월, 4월까지 주당 총 $0.66 배당도 받을 수 있었겠죠.
🔍 PDI ETF는 어디에 주로 투자할까?
PDI (PIMCO Dynamic Income Fund) 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다이나믹 인컴”, 즉 지속적이고 높은 수익(배당) 을 목적으로 하는 액티브 ETF입니다. 이 펀드는 단순히 정해진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PIMCO 운용진이 적극적으로 자산을 배분하고 관리합니다.
📌 주요 투자 대상 요약:
자산 종류
|
설명
|
🏦 고수익 채권 (High Yield Bonds)
|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 채권으로, 위험은 있지만 금리가 높음
|
🌍 글로벌 신흥국 채권 (Emerging Market Bonds)
|
브라질, 멕시코, 인도 등 이머징 국가들의 정부·기업 채권
|
🧾 미국 및 글로벌 투자등급 채권 (Investment Grade Bonds)
|
비교적 안전한 회사채와 정부채
|
🏠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
|
주택담보대출을 바탕으로 한 유동화 채권
|
💵 자산유동화증권 (ABS, CDO 등)
|
대출·리스 등을 기반으로 만든 구조화 상품
|
💡 기타 파생상품 및 현금성 자산
|
수익률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금융 파생 도구
|
🎯 특징적인 전략
- 레버리지 사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자금을 빌려서 더 많은 채권에 투자 (즉, 변동성은 높아질 수 있음)
- 글로벌 분산: 미국 내 자산뿐 아니라 유럽·신흥국까지 포트폴리오 확대
- 금리 환경 활용: 금리 상승기/하락기에 따라 자산 구성 조정
💳 다시 매집 중입니다 (3월 기준)
그래서 3월부터 다시 PDI를 조금씩 모으기 시작했어요.
- 3/6 ~ 3/18 기간 동안 거의 매일 $0.9999~$1.05씩 소액 매수
- 총 투자금: $28.37
- 현재 보유 수량: 1.597107주
- 현재 평가금액: $31.52 (11.1% 수익 중)
PDI는 DRIP(배당금 자동 재투자) 기능도 잘 작동하므로, 배당금이 쌓일수록 자연스럽게 주식 수가 늘어나고, 그로 인해 다음 배당이 더 늘어나는 구조가 매력적입니다.
📊 기본 정보 요약
항목
|
내용
|
정식명
|
PIMCO Dynamic Income Fund (PDI)
|
상장일
|
2012년 5월 29일
|
운용사
|
PIMCO
|
발행 주식 수
|
약 3.53억 주
|
순자산가치 (NAV)
|
$17.1
|
괴리율
|
15.6%
|
총 운용자산
|
약 $60.3억
|
연 운용보수
|
2.8%
|
🤔 PDI의 리스크는?
물론 리스크도 있습니다.
- 채권 중심 운용: 금리 변화에 민감합니다.
- 고배당 유지를 위한 레버리지: 자산 가격 하락 시 리스크 증폭
- 괴리율이 크다: 실제 자산가치보다 프리미엄을 주고 거래될 때가 많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배당이라는 점과 13% 넘는 배당률은 저에게 **"꾸준한 캐시플로우"**를 만들어주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 정리하자면
- 1월 초에 PDI 100주 전량 매도한 건 지금까지도 후회 중.
- 3월부터 다시 조금씩 매집 중이며, 배당 재투자(DRIP) 도 활성화 상태.
- 월배당 + 고배당 + 탄탄한 운용사(PIMCO) = 중장기적으로 매력적인 자산이라고 판단.
여러분도 배당의 재미, 느껴보세요. 하지만 리스크는 항상 감안해야 합니다!
끝으로, 다시 한번 강조드리지만 모든 투자 판단과 결정은, 본인의 몫임을 잊지마세요. 성투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