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LzhqZ_ftjOg?si=1ffznHpjto5eapd9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의 몫 입니다.
안녕하세요! 😊 이번 시간은, 오늘은 신규 매수한 국내ETF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의 매수 전략 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다만,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결정은, 본인의 책임임을 꼭 명심해주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투자 결정을 권유하거나 추천하지 않습니다.





🟢 신규 상장 ETF 매수 후기!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 15주 매수 (feat. 한국판 SCHD)
2025년 5월 20일, 드디어 기다리던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 ETF가 신규 상장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삼성증권 ISA 계좌에서 이 ETF를 15주 현금 매수했습니다. 🎉
📌 매수 정보
- 매수일: 2025.05.20
- 매수가: 9,980원
- 매수수량: 15주
- 총매수금액: 약 149,700원
✅ 왜 매수했는가?
이 ETF는 쉽게 말하면 "한국판 SCHD"로 불릴 만큼, 고배당 + 퀄리티 전략을 기반으로 설계된 국내 ETF입니다.
PLUS 고배당주 ETF를 보유 중인 저로서는, 이 종목이 사실상 그에 맞서는 대항마라고 판단했습니다.
게다가 월 중간배당을 실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꾸준한 월배당 인컴 흐름을 원하는 저에겐 최적의 선택이었습니다.
📊 보유 종목 Top10 & 특성
(2025년 5월 기준, 출처: 한국거래소)
순위
|
종목명
|
비중
|
기업 특성 및 투자 포인트
|
1
|
KB금융
|
4.7%
|
국내 대표 금융지주사. 고배당 성향이 높고, 안정적인 순이익 유지.
|
2
|
LG유플러스
|
4.7%
|
5G, 인터넷 사업을 통한 꾸준한 수익 창출. 배당 확대 노력 지속.
|
3
|
KT&G
|
4.5%
|
국내 최대 담배 제조사. 안정적 캐시카우 보유, 배당률 매우 우수.
|
4
|
하나금융지주
|
4.3%
|
외환/디지털금융 강자. 자사주 매입과 고배당으로 주주환원 강화.
|
5
|
GS
|
4.2%
|
에너지·리테일 중심의 지주사. 실적 변동성 있지만 배당은 안정적.
|
6
|
우리금융지주
|
4.2%
|
시중은행 중심 금융지주. 배당 성향 꾸준히 증가 중.
|
7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4.1%
|
글로벌 타이어 제조사. 원가 절감 및 해외 판매 확대에 집중.
|
8
|
iM금융지주
|
4.0%
|
지방금융지주로 고정고객 기반 탄탄. 배당 성향은 높은 편.
|
9
|
DB손해보험
|
4.0%
|
보험업 전반의 안정성 기반, 장기 수익성과 배당 매력 보유.
|
10
|
신세계인터내셔날 (예시)
|
-예시
|
소비재·뷰티 중심 유통기업. 실적 성장성과 배당 모두 고려됨.
|
💡 공통점: 대부분 고배당 + 실적 안정성을 가진 업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금융주 비중이 높은 점이 인컴 전략에 강점을 줍니다.
🧩 전략적 특징 요약
- 금융 섹터 중심: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iM금융 등 금융업종이 포트폴리오 핵심입니다.
- 소비/통신 안정주 비중 포함: LG유플러스, KT&G, GS 등은 경기 방어주 성격이 강함.
- 분산 투자 효과: 에너지, 제조, 보험, 소비재까지 고르게 분산되어 리스크를 낮추는 구조.
🔍 개인 판단: PLUS 고배당주의 진정한 대항마
PLUS 고배당주 ETF가 종목 다양성에 기반한 고배당 분산 투자였다면,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는 보다 정제된 고배당 + 퀄리티 조합으로
수익률과 배당의 밸런스를 추구하는 구조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앞으로의 전략
- 월배당 수령을 통한 인컴 최적화
- 월중간배당을 활용해, 꾸준한 현금흐름 관리
- 분할 매수 지속
- 향후 하락 시마다 분할 매수로 평균단가 조절 예정
- PLUS 고배당주와 비교 트래킹
- PLUS 고배당주 ETF와 수익률/배당률 비교 데이터 기록
- ISA 계좌의 세금 혜택 극대화
- ISA 비과세 한도 내에서 우선 편입하여 세후 수익률 극대화
✍️ 마무리하며
처음으로 상장일 당일에 ETF를 매수해봤습니다.
처음이라 그런지 긴장도 되고, 타이밍 고민도 많았지만, 결과적으로 훌륭한 월배당 ETF의 시작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끝으로, 다시 한번 강조드리지만 모든 투자 판단과 결정은, 본인의 몫임을 잊지마세요. 성투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