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생연금배당

[ 평생연금배당 실천하기 ] 배당주식 주당과세표준액과 배당소득세 계산 방법 (해당, ETF 운영사에서 확인 가능)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이즈코리아입니다.

※ 이번 시간은, 배당주식 주당과세표준액과 배당소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출처 : KODEX ETF 분배금 현황표

1. 상품 정보

  • 상품명: Kodex 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
  •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주식형 ETF입니다.
  • 커버드콜 전략: 주식(또는 지수)을 보유하며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하여 프리미엄 수익을 얻는 전략으로, 변동성을 줄이고 수익 안정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상품코드: 498400 (ETF를 식별하는 고유 코드)
  • 유형: 주식형

2. 지급 정보

  • 지급기준일: 2025년 1월 15일
  • 해당 기준일까지 ETF를 보유한 투자자에게 분배금 지급 자격이 주어짐.
  • 실지급일: 2025년 1월 17일
  • 실제로 투자자의 계좌에 분배금이 입금되는 날짜.

 

3. 수익률과 분배 정보

  • 분배율: 2.05%
  • ETF가 전체 자산에서 지급한 분배금의 비율.
  • 분배율 2.05%는 비교적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의미합니다.
  • 주당분배금: 202원
  • 해당 ETF 1주당 지급되는 실제 분배금.

  • 예: 100주 보유 시, 202원 × 100주 = 20,200원 지급.
  • 주당과세표준액: 36원
  • 배당소득세 계산의 기준 금액.
  • 예: 주당 36원 기준으로 15.4%의 배당소득세가 적용되며, 세금은 36원 × 15.4% = 약 5.54원.

상기, 예시처럼 주당분배금 202원이 아닌, 주당과세표준액 36원에서 배당소득세 15.4%가 적용되어 결국 세금은 5.54원 (1주당)으로 결정됩니다.

이런, 주당과세표준액은 배당주마다 다르며, 100% 기준으로 배당소득세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주당과세표준액은 ETF 해당 운영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당과세표준액이란?

**주당과세표준액(Per Share Taxable Income)**은 기업이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에 대해 과세 대상이 되는 금액을 뜻합니다. 이는 배당소득세 부과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 사용됩니다.



 

📌 배당소득세와의 관계

배당소득세는 주당과세표준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며, 기본적으로 **15.4% (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 일반 배당주 투자자: 배당금 지급 시 원천징수(15.4%)
  • 연금저축계좌/IRP에서 투자 시: 과세이연(55세 이후 연금소득세 부과)

📌 실제 예시

  • 삼성전자의 주당과세표준액이 500원이면,
  • 배당소득세 = 500원 × 15.4% = 77원
  • 실수령 배당금 = 423원 (세금 차감 후)

📌 주당과세표준액이 중요한 이유

배당소득세 계산의 기준이 됨

배당금 실수령액을 예측할 수 있음

세금 절감을 위한 연금저축·IRP 활용 전략 가능

마무리

즉, 주당과세표준액이 높을수록 투자자가 부담하는 배당소득세도 증가하지만, 배당 재투자를 통한 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