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3D프린터 호루라기 프린팅 실무 실습 (브림 잘 깔리는지 확인하고, 중간중간에 브림이 바닥에 밀착되도록 눌러주고, 열수축 방지를 위해 챔버를 닫아서 열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즐의 이송속도 FEED 값을 높여, 출력 속도를 높일 수 있으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3D프린터는 챔버 타입이 사용하여, 열수축을 줄여 정밀도를 높여 제품을 완성도를 높여야 합니다.
브림이 바닥면에 잘 안착하고 깔리도록, 프린팅 중간에 잠시 세워서 눌러주기도 합니다.
(다만, 이때 노즐의 온도가 200도를 넘으므로 화상에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완성된 호루라기가 실제로 작동하며, 휘리릭~~ 소리가 명쾌하게 납니다.
3D프린터의 출력방식중에서, 본 동영상은 FDM 방식인 적층가공 방식으로 제품을 출력하였습니다.
FDM은 Fused Deposition Modeling의 약자이고, 고체상태의 열가소성 수리인 필라멘트(필라)를 고온의 압출 헤드에서 녹이면서 노즐로 내보내고, 층층을 쌓아가는 방식의 기술입니다.
따라서, 상기 "열수축"이 발생하는 원인이, 필라인 소재가 대부분 플라스틱이고 용융되고나면 그상태로 남겨지나 복원력으로 인해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챔버 타입으로 열 이동을 줄여야 제품의 정밀도가 높게 됩니다.
FDM 방식의 기술이 건설과 센서 및 전자부품, 식품분야, 의료분야 등등 작은 제품에서부터 큰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작이 가능합니다. (다만,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728x90
반응형
'3D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프린팅 3D프린터운용기능사 FDM FFF 방식 제품출력 실무 실습 (0) | 2019.08.10 |
---|